광고
ΰ
광고
편집  2023.12.08 [02:08]
전체기사  
경제·사회
회원약관
청소년 보호정책
회사소개
광고/제휴 안내
기사제보
HOME > 경제·사회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한상림 칼럼> 초저출생에 대한 대책은?
 
GK
광고

 

PIXABAY.COM

 

독일 유튜브 채널 쿠르츠게작트(Kurzgesagt)’한국은 왜 망해가나(Why Korea is Duing)’라는 제목의 영상을 게재했다. 이는 한국이 노인의 나라가 될 거라는 강력한 경고의 메시지다.

 

지난해 한국의 합계출산율이 0.78명을 기록한 수치는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치이다. 100년 안에 한국의 청년 94%가 줄어들면 한국은 노인의 나라가 된다. 결국 노동력을 공급하는 생산연령인구(15-64)가 줄면 고령화로 인해 감당해야 할 의료비와 빈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올 상반기 출산율이 0.78명에서 0.7명으로 줄어들었다. 그럼에도 심각한 저출산 문제에도 속수무책인 정부와 해법을 제시 못 하는 정치권이다. 2006년부터 15년 동안 280조 원을 쓰고도 실패하였다. 이는 저출산 문제 원인을 잘 못 짚었고, 장기적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현재 저출산 법안 364건이 국회서 잠을 자고 있다. 도대체 손 놓고 네 탓 내 탓공방만 벌이고 있는 정치권 싸움은 언제나 조용해질까? ‘난임 시술 지원법을 공감하고도 2년째 방치하고 있는 손 놓은 국회다. 여는 그저 표심 영향이 적은 법안은 무관심이다.

 

초저출생 시대의 근본적 대책은 무엇이 있을까나 때는 말이야라는 말과는 요즘 청년들 사고가 전혀 다르다. 그때만 해도 단칸방에서 신혼살림을 시작해도 흉이 아니었고, 결혼 적령기가 되면 결혼하여 1-2명 자녀 출산을 의무적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요즘 청년들은 먼저 주거 공간을 원한다. 자녀를 출산하여 드는 양육비 또한 만만치 않으니 불투명한 미래보다 확실한 현재에 방점을 찍는다. 아빠는 돈 벌어오고, 아이는 공부만 하면 된다는 가족의 기본적 내용도 바뀌었다.

 

▲ PIXABAY.COM    

 

따라서 청년들의 생애 과정을 가로막는 구조적인 요인들 먼저 해소해야 한다. 대학을 졸업하고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는 청년의 수가 많다. 정규직, 비정규직 혹은 지역 간 계층 격차, 사교육비, 고금리, 주거 공급 문제 등이 가로막고 있다. 이러니 선뜻 아이를 출산할 엄두를 내지 못하는 것이다.

 

MZ세대들에게 저출산 대책 의견을 들어보았더니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고 한다. 즉 육아휴직급여 150% 지원, 둘째 자녀 출산 지원, 베이비시터 제도 도입, 20-30대 생식세포 냉동보관, 남성 육아휴직 할당제, 육아 재택근무제도, 근로 시간 단축 의무화와 한국식 스피드 프리미엄 제도 도입 등이다.

 

정부에서는 2024년 저출생 대책 예산을 올해보다 23.5% 늘어난 5,900억을 잡았다. 우선 부모 급여로 0세 아동은 월 7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만 1세 아동에게는 35만 원에서 50만 원 상향할 예정이다. 육아휴직도 3년이 가능하고, 결혼 여부와 상관없이 신생아 특공 신설 즉 신생아 출산 가구에 공공주택 분양 특별공급제도 신설, 보육 기관 지원, 소아 의료 예산 확대 등이다.

 

이런 대책 마련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2024부터는 출생 인구수가 조금씩이라도 늘어났으면 한다.

 

 

 

 

 

 

 


원본 기사 보기:모닝선데이

광고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밴드 밴드 구글+ 구글+
기사입력: 2023/10/24 [18:17]  최종편집: ⓒ 투데이리뷰 & 영광뉴스.com
 
영광전남뉴스 영어 - translate.google.com/translate?hl=en&sl=ko&tl=en&u=http%3A%2F%2Ftodayreview.co.kr&sandbox=1
영광전남뉴스 일어 - jptrans.naver.net/webtrans.php/korean/todayreview.co.kr
영광전남뉴스 중어(번체) - translate.google.com/translate?hl=ko&sl=ko&tl=zh-TW&u=http%3A%2F%2Ftodayreview.co.kr&sandbox=1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관련하여 정당·후보자에 대한 지지·반대의 글을 게시하고자 할 경우에는 '실명인증' 후 게시물을 등록하셔야 합니다. 실명확인이 되지 않은 선거관련 지지·반대 게시물은 선관위의 요청 또는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임의로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본 실명확인 서비스는 선거운동기간(2018-05-31~2018-06-12)에만 제공됩니다.
일반 의견은 실명인증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제목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전남농기원, ‘연구개발 가공 신기술 설명회’ 성황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왜? 대안 대학인 ‘미네르바 스쿨’이 뜰까! / 김영희 끝끝내엄마육아연구소 대표
부산엑스포 득표! 참패 “외교전 오판” / 소정현기자
“첫눈 내리는 창밖…끈적한 뮤직” / 림삼 시인
"복은 쌍으로 안오고 화는 홀로 안온다" / 수필가 김란희
토끼는 '되새김질' 반추동물인가? / 소정현기자
정읍시 생활체육공원·국민체육센터 내달 착공 / 소정현기자
“암, 사라지는데 필요한 시간 딱 1년” / 조길남 작가
(서평) “도시는 어떻게 브랜드가 되는가” / 소정현기자
‘발진·통증’의 ‘대상포진’ 한방요법 / 정상연 한의사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회원약관청소년 보호정책 회사소개광고/제휴 안내기사제보보도자료기사검색
ΰ 발행인·편집인 蘇晶炫, 발행소:영광군 영광읍 옥당로 233-12, 청소년보호책임자 소정현, 등록번호 전남 아00256, 등록일자 2014.09.22, TEL 061-352-7629, FAX 0505-116-8642 Copyright 2014 영광(전남) 뉴스 All right reserved. Contact oilgas@hanmail.net for more information. 영광(전남) 뉴스에 실린 내용 중 칼럼-제휴기사 등 일부 내용은 본지의 공식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영광(전님) 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본지는 신문윤리강령 및 실천강령을 따릅니다.